거짓이별
한용운
당신과 나와 이별한 때가 언제인지 아십니까
이별 : 시적 상황-이별(객관적 사실)
아십니까 : 경어체 - 여성적어조
가령 우리가 좋을 대로 말하는 것과 같이
거짓 이별이라 할지라도 나의 입술이 당신의 입술에 닿지 못하는 것은 사실입니다
거짓 이별 : 믿지X, 인정X 이별(이별 부정). 이별에 대한 주관적 인식
일시적 이별, 반드시 만날 것임.
참고 : 한용운 <님의 침묵>
“아아,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.” 구절과 상통함
나의 입술이~ 사실입니다 : 몸이 함께 하지 못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 - 안타까움
이 거짓 이별은 언제나 우리에게서 떠날 것인가요
언제나 : 언제쯤
거짓 이별은 ~ 떠날 것인가요 : 재회소망
한 해 두 해 가는 것이 얼마 아니 된다고 할 수가 없습니다
시들어가는 두 볼의 도화(桃花)가 무정한 봄바람에 몇 번이나 스쳐서 낙화가 될까요
도화(봄)-젊은 화자
낙화(가을)-늙어가는 화자
대조법, 시간의 흐름
회색이 되어가는 두 귀 밑의 푸른 구름이
푸른 구름 : 검은머리
쪼이는 가을 볕에 얼마나 바래서 백설(白雪)이 될까요
백설 : 흰머리
대조법, 색채대비, 대구법
머리는 희어 가도 마음은 붉어 갑니다
희어, 붉어 : 색채대비
피는 식어 가도 눈물은 더워 갑니다
피 : 젊음의 열정
눈물 : 기다림
촉각적 대비, 대구법
사랑의 언덕엔 사태가 나도 희망의 바다엔 물결이 뛰놀아요
사랑의 언덕 : 비유법(은유)-이별
희망의 바다 : 비유법(은유)-재회소망
뛰놀아요 : 역동적심상
이른 바 거짓 이별이 언제든지 우리에게서 떠날 줄만은 알아요
재회에 대한 믿음
그러나 한 손으로 이별을 가지고 가는 날은 또 한 손으로 죽음을 가지고 와요
그러나 : 시상전환(내용전환X, 의지강조)
진짜 이별이 온다면 죽음을 선택하겠다 → 강한 의지, 이별거부, 절대적 사랑
▶ 갈 래 : 현대시(자유시), 서정시
▶ 성 격 : 비유적, 의지적, 애상적, 산문적
▶ 주 제 : 이별의 극복 의지와 재회에의 소망
▶ 특 징
1. 경어체의 사용 – 여성적 어조, 경건한 분위기
2. 사랑과 이별에 대한 역설적 표현
3. 통사구조의 반복 – 운율
4. 감각적 대비와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 시적 상황과 정서 표현
5. 화자가 이별을 대하는 태도는 체념이나 원망보다도 초연적이고 의지적임 – 재회 확신
▶ 시상의 흐름
1행 : 시적 상황 제시(오랜 이별 & 재회소망. 기다림)
2~6행 : 거짓 이별과 덧없이 흐르는 세월에 대한 안타까움
7~11행 : 변함없는 사랑과 만남에의 확신